맨위로가기

존 하글렐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하글렐감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정치인, 외교관, 학자이다. 1949년 야프 주에서 태어나 하와이 대학교에서 정치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에서 공공행정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4년부터 16년간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 의회 하원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1987년에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두 번째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대통령 퇴임 후 미크로네시아 연방주립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했고, 2001년에는 FSM 헌법협약 의장을 역임했다. 2024년 9월 12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대통령 - 토시오 나카야마
    일본인 아버지와 원주민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토시오 나카야마는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 의회 상원 의장을 거쳐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독립을 이끌고 미국의 정부 기능 이양을 감독하며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대통령 - 매니 모리
    매니 모리는 2007년부터 2015년까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제7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환경 문제와 일본과의 관계 증진에 힘썼다.
  • 하와이 대학교 마노아 동문 - 김재익 (1938년)
    김재익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와 미국 대학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한 경제학자이자 관료로, 한국 경제의 시장 중심 개혁에 기여했으나 아웅산 묘역 테러 사건으로 사망했다.
  • 하와이 대학교 마노아 동문 - 벳 미들러
    벳 미들러는 하와이 출신으로 브로드웨이와 게이 클럽에서 활동하며 경력을 시작해 《The Divine Miss M》의 성공을 발판 삼아 음악과 영화계에서 인기를 얻고 "윈드 비니스 마이 윙스" 등의 히트곡과 영화 《장미》, 《포에버 프렌즈》 등으로 널리 알려진 미국의 배우, 가수, 코미디언, 프로듀서이며 에미상, 그래미상, 토니상 수상과 사회 활동, 자선 사업으로도 유명하다.
존 하글렐감 - [인물]에 관한 문서
존 하글렐감
존 하글렐감
존칭각하
이름존 하글렐감
출생일1949년 8월 10일
출생지에우리피크, 야프,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
사망일2024년 9월 12일
사망 장소호놀룰루, 하와이, 미국
배우자파울라 오리
자녀3명
미크로네시아 연방 대통령
순서제2대 미크로네시아 연방 대통령
임기 시작1987년 5월 11일
임기 종료1991년 5월 11일
이전 대통령토시오 나카야마
다음 대통령베일리 올터
그 외
소속 정당무소속

2. 배경 및 초기 생애

존 하글렐감은 1949년 8월 10일 야프주의 에우리픽(Eauripik) 섬에서 태어났다.[5] 그는 1964년부터 1968년까지 에우리픽 초등학교와 울리시(Ulithi)에 있는 아우터 아일랜드 고등학교(Outer Islands High School)를 다녔다. 1968년, AFS 장학금을 받아 미국 오리건주 비버튼(Beaverton)에 있는 비버튼 고등학교에서 고등학교 마지막 학년을 보냈고, 1969년에 졸업했다.[2]

졸업 후 하와이 대학교에 입학하여 1973년 정치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리건주 세일럼(Salem)에 있는 윌라멧 대학교 로스쿨(Willamette University College of Law)에서 1년간 수학했으나, 미크로네시아 의회(Congress of Micronesia) 하원 의원 선거에 야프 외곽 섬 대표로 출마하기 위해 학업을 중단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2] 하원에서 한 임기를 마친 후, 동서센터(East–West Center)의 후원을 받는 대학원생으로 하와이 대학교 마노아로 돌아왔다. 하글렐감은 하와이 대학교에 재학 중 하원 의원으로 재선되었다. 그는 1977년 봄에 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

3. 정치 경력

1974년 미크로네시아 의회 의원이 되었다.[5] 1987년 5월 12일 제2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91년 5월 11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6]

4. 학계 경력

1991년 재선에 실패한 후, 하글렐감(Haglelgam)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주립대학교(College of Micronesia-FSM) 국립 캠퍼스 사회과학부 강사가 되었다. 1992년 2월, 대학 이사회는 그를 종신교수(Regent Professor)로 임명했다. 1992년 여름, 하글렐감은 메이슨 펠로우(Mason Fellow) 자격으로 하버드 대학교 존 F. 케네디 행정대학원(John Fitzgerald Kennedy School of Government)에 유학하기 위해 대학 휴직을 했다. 미크로네시아 연방주립대학교에서 하글렐감은 정부와 정치, 미크로네시아 역사, 세계사, 동아시아 역사를 가르쳤다. 1995년 가을 학기에는 괌 대학교 MARC에서 방문 교수로 강의했다. 1997년에는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에서 3개월 동안 명예 선임 태평양 학자(Distinguish Senior Pacific Scholar)로 활동했다.

5. 기타 활동

하글렐감은 2001년 제3차 FSM 헌법협약 의장을 역임했다.

2018년 8월, 하글렐감은 2019년으로 예정된 추크 독립 운동에 반대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독립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정신 이상자"라고 묘사했다.[3]

6. 개인사 및 사망

1949년 8월 10일,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 야프 지역(현재 미크로네시아 연방 야프 주)의 에어울립크 환초에서 태어났다.[5] 추크 환초 우만 섬 출신인 파울라 오리와 결혼했으며, 슬하에 두 아들 윌리엄 하글렐감(사망)과 존 폴 오리, 그리고 딸 테스 P. 하글렐감을 두었다. 그는 하버드 동문회(HAA)와 동서 센터 협회의 적극적인 회원이었다.

2024년 9월 12일,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에서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5]

참조

[1] 웹사이트 Former.HTM http://www.fsmpio.fm[...] 2008-04-14
[2] 문서 Personnel - Johnston, Edward (1) https://www.fordlibr[...] Ford Library Museum
[3] 뉴스 Chuukese defiant about independence from FSM https://www.radionz.[...] Radio New Zealand 2018-11-01
[4] 뉴스 The FSM Government Announces the Passing of Former President John R. Haglelgam https://gov.fm/the-f[...] The National Government of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2024-09-22
[5] 웹사이트 THE FSM GOVERNMENT ANNOUNCES THE PASSING OF FORMER PRESIDENT JOHN R. HAGLELGAM https://gov.fm/the-f[...] Government of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2024-09-19
[6] 웹사이트 Micronesia https://www.worldsta[...] Worldstatemen 2024-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